"숲은 우리가 무수히 가져 왔던 그 어떤 관념으로도 해결될 수 없는 장소이다. 그곳에는 끝없이 많은 세부와 가늠할 수 없는 깊이를 가진 공간들이 존재할 뿐이다. 그것을 언어에 비유한다면, 구조는 존재하지만 문법은 없는 문장과 같다. 주어와 목적어는 뒤섞여 있고 과도하게 많은 형용사가 흩어져 있다. 숲의 신택스는 해독이 불가하다. 따라서 그것은 하나의 잠재성이다. 아직 발화되지 않은 거대한 세계이며, 열린 문장이다. 그 안에서 떠오르는 유일하게 선명한 것은 방향 상실의 감각뿐이다. 길을 잃어버린다는 감각. 숲에서 길을 잃는다는 건 목적지로 가는 길을 모른다는 뜻이 아니다. 애초에 목적지는 정해져 있지 않다. 그것이 숲과 산을 구별하는 지점이다. 산은 정상을 향하는 정복자들을 위한 곳인 반면, 숲은 방황하는 자들을 위해 마련된 곳이다. 그러니까 만약 숲으로 향하는 목적이 있다면, 그것은 오로지 길을 잃기 위함인 것이다. 그리고 길을 잃어버리는 행위를 통해서만이 숲으로 들어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숲은 위계 없는 세계이다. 죽은 것들과 살아 있는 것들, 정지해 있는 것들과 움직이는 것들, 침묵과 소리가 언제나 함께 공명한다. 이 복잡계를 지각함으로써 우리는 비로소 숲의 관념과 의미를 넘어서게 된다."
"The forest is a place that cannot be resolved through any of the many concepts that we carry with us. There are merely endless spaces with endless details and unfathomable depths. If we compare it to language, it resembles a sentence with structure but no grammar. The subject and object are jumbled, scattered with an excess of adjectives. The forest’s syntax is impenetrable. In that sense, it represents a form of potentiality—a vast unspoken world, an open sentence. The only clear thing that emerges from it is a sense of directionlessness, the feeling of losing one’s way. To be lost in the forest does not mean that one does not know the way to one’s destination; there was no destination set in the first place. This is what distinguishes a forest from a mountain. A mountain is a place for those seeking to conquer a summit, while a forest is there for those who wander. If there is any purpose for traveling into the forest, it is to lose one’s way. And it is only through the act of losing one’s way that one enters the forest. The forest is a world without hierarchy. The dead and the living, the static and the moving, silence and sound—all of them resound together at all times. By perceiving this complex system, we are finally able to transcend the concept and meaning of the “fo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