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m with revolving doors
Room with revolving doors (Diptych), 2014
Archival pigment print
100×75cm


(1 / 3)
Room with Revolving Doors (Triptych), 2014
3sets of off-set print piles
1204×483×5cm


(2 / 3)
A spread of the book, Inadequate Metaphors


(3 / 3)

회전문이 있는 방

2014, 정희승


회전문이 있는 방은 사진적 이미지의 건축적 모델을 만들고 촬영하여 딥틱으로 제작한 작업이다. 이 모델의 도면은 2013년도에 발간한 책 부적절한 은유들의 펼침면의 그리드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이 책은 grid and bleed 라는 컨셉하에 책의 상부와 중심에 볼드한 여백이 모든 페이지에 견고하게 자리잡고 이미지는 양면의 코너에 위치하여 책의 제작공정상 사진의 일부가 잘려 나가게 된다. 그리고 마주보는 두 개의 이미지는 조형적, 정서적, 감각적 층위에서 관계를 맺으며 고정된 해석을 요구하지 않는다. 다시 회전문이 있는 방에서는 책의 여백은 벽이되고 이미지는 회전문이 된다. 이 비어있는 방은 마치 이미지가 배치와 관계에 의해 의미의 가능성으로 열려 있듯이 문의 개방과 폐쇠의 방식에 따라 끊임없이 공간의 형태를 달리한다.

Room with revolving doors

2014, Heeseung Chung

A Room with Revolving Doors is a diptych created by photographing an architectural model of the photographic image. The model's design is based on the grid of the spreads from my 2013 photobook, Inadequate Metaphors. Based on a concept of 'grid and bleed,' the book features a solid, bold margin at the top and center of every page. The images are pushed to the corners, causing parts of them to be cropped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 two facing images thus relate to each other on formal, emotional, and sensory levels, resisting any fixed interpretation.
In A Room with Revolving Doors, this structure is translated so that the book's margins become the walls, and the images become the revolving doors. Just as an image opens up to the possibility of meaning through its arrangement and relationships, this empty room constantly changes its own spatial form depending on how its doors are opened or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