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리서 너무 가깝게’는 빔 벤더스Wilhelm Wenders가 1993년에 제작한 영화 <Faraway, So Close!> 에서 빌려온 제목이다. 숲속에서 길을 잃는다는 건 그 세부 안으로 깊숙이 들어가는 일인 동시에, 대상에 온전히 도달할 수 없는 어떤 거리를 인식하는 일이기도 하다. 사진가는 파인더를 통해 대상을 깊이 응시하는 존재이다. 그러나 대상에 가까워질수록, 그리고 세부들의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그것들은 우리의 인지적 한계를 넘어서, 우리는 숲으로부터 오히려 멀어지는 아이러니를 경험하게 된다. 말하자면, 숲이라는 대상의 인식 불가능성을 더욱 선명하게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구체성이란 때로는 사물의 본질에 다가가는 길이 아니라, 그 본질이 도달 불가능하다는 것을 일깨워주는 장치가 된다. 사진은 그런 차원에서 ‘이해’를 제공하는 매체가 아니다. 오히려 판단을 유예하고 대상에 대해 생각하기를 종용하는 매체에 가깝다. ‘지금 나는 진정 무엇을 보고 있는가?’ 그 유예의 감각이 ’멀리서 너무 가깝게’라는 제목이 내포하는 아이러니와 중첩되어 있다. 또한 벤더스의 영화가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과도 무관하지 않다.
<Faraway, So Close!>에는 카시엘이라는 천사가 등장한다. 그는 멀리서 인간을 관찰하고 그들의 생각을 들으며 연민을 느끼는데, 그 연민이 점점 커져서 인간이 되기를 갈망하는 존재이다. 하지만 그가 결국 인간이 된 후, 비로소 가까이에서 바라보게 된 인간계는 더 이상 낭만적으로 볼 수 없는 실존의 민낯을 드러낸다. 무자비하고 폭력적인 세계. 그 후 카시엘은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고통스럽고 낮은 곳까지 내려가는 과정을 통해 진정한 인간성의 다층적인 면을 이해하게 되고, 결국 비참한 죽음을 맞이한다. 결말에 이르러 카시엘의 친구들은 그의 죽음을 슬퍼하지만, 마찬가지로 한때 천사였던 친구 다미엘은 귓가에 울리는 어떤 소리를 듣고 조용히 웃음을 터뜨린다. 다미엘만이 들을 수 있는 이 소리야말로 영화가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이다. 그것은 천사만이 들을 수 있는 작은 공기의 떨림 같은 것이자, 이미지나 언어로는 포착할 수 없는 어떤 특별한 신호이다. 친구가 천사가 되어 다시 돌아왔다는 감각적 진실. 그것이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가 말한 푼크툼Punctum과도 통한다면—그건 너무 과한 해석일까?
적어도 사진을 진심으로 좋아하는 사람들은 – 그들이 작가든, 아마추어 사진가든, 사진 애호가든 상관없이 – 푼크툼에 대해 알고 있을 것이다. 아니 적어도 들어는 봤을 것이다. 바르트는 말한다. “이렇게 습관적으로 단일한 의미만을 허용하는 사진의 공간 안에서, 가끔 (아, 정말 가끔!) 하나의 세부가 나를 끌어당긴다.” 그것은 불시에 나를 찌르는 사진의 예기치 못한 어떤 세부이다. 『카메라 루시다』에서 그것은 ‘사토리’, ‘공(空)의 섬광’ 등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사토리’는 홀연한 깨달음을, ‘空’은 비어 있음, 구멍, 또는 부질없고 헛됨을 의미한다. 푼크툼은 젊은 바르트가 말했던 ‘신화적인 것’과는 대척점에 놓인 개념이다. 그것은 타인과 공유될 수 없는, 철저히 사적이고 정서적인 층위에서 작동하는 어떤 것이다. 말년의 바르트는, 마치 자신이 평생 구축해 온 사진론을 스스로 부정하기라도 하듯, 『카메라 루시다』에 몰두했다. 당시 그는 어머니를 잃고 깊은 상심에 빠져 있던 시기였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카메라 루시다』를 일종의 애도문으로 읽는다. 그러나 그 책은 추측컨대 단순한 상실의 기록만은 아닐 것이다. 바르트가 보여줄 수 없었던, ‘온실사진’으로만 알려진 빛바랜 사진 한 장. 거기서 어린 시절의 어머니를 발견하고 말문이 막혀버렸을 때, 그 사진을 언어로는 해결할 길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비로소 바르트는 자신이 평생 구축해 온 기호 체계의 바깥으로 나가야만 했던 것이 아니었을까? 그것은 그가 선택한 애도의 방식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사진의 본질을 향한 감각적 귀환이었다. 사진은 더 이상 ‘무엇에 관한 것’이 아니라, ‘내가 왜 거기에서 멈췄는가’에 관한 것이 되었고, 분석의 대상이기보다 침묵에 가까운 언어가 되었다."
"The title Faraway, so close is taken from the title of a 1993 film directed by Wim Wenders. To lose one’s way in the forest is to delve into its deepest details, and it is also to recognize a certain distance that keeps one from ever fully reaching their object. A photographer is someone who stares deeply into an object through their viewfinder. Yet the irony they encounter is one where the more closely they approach it, and the higher the resolution they use to capture its details, the more they exceed our cognitive limits, leaving us shifting further away from the forest. In a word, they realize more clearly the impossibility of perceiving the forest as an object. There are times when concreteness is not an avenue for approaching an object’s essence but a mechanism that makes us aware of that essence’s unattainability. In this sense, photography is not a medium that provides us with “understanding.” If anything, it is one that encourages us to contemplate an object while reserving judgment. As we ask, “What am I really looking at?” that sense of reservation overlaps with the irony present in the title Faraway, so close. It also bears some connections to the questions that Wenders’s film poses.
The film Faraway, So Close! features an angel named Cassiel. As he observes human beings from a distance and listens to their thoughts, he develops compassion for them, and that compassion grows into a yearning to become human. But after he becomes human, the human world that he is finally able to observe up close represents a stark reality that can no longer be viewed romantically—a merciless, brutal world. Through a process of descending to the lowest and most painful reaches of human experience, Cassiel comes to understand the multilayered aspects of real humanity, and he finally meets a tragic end. At the end of the film, Cassiel’s friends mourn his death, but his angel friend Damiel hears a sound in his ear and laughs to himself. This sound that only Damiel can hear is the message that the film gives us: the tiny trembling of air particles that is audible only to an angel, and a special sign that cannot be captured in images or language. It provides sensory proof that Damiels’ friend has returned as an angel. Would it be overanalyzing things to say this relates to the “punctum” described by Roland Barthes?
People who truly love photography—artists, amateur photographers, and photography buffs alike—will know about the punctum, or they will at least have heard of it. Barthes explains, “In the spaces of photography, which conventionally admit only unitary meanings, there are times (very rarely!) when a single detail draws us in.” He is speaking of an unexpected detail in the photograph that transfixes us. In Camera Lucida, he refers to it as “satori” and the “passage of the void”—where satori means sudden realization and the void refers to emptiness, a hole, or that which is fleeting and hollow. As a concept, the punctum is antithetical to what the younger Barthes described as the “mythical.” It is something that operates at an utterly personal emotional level, something that cannot be shared with others. Toward the end of his life, Barthes devoted himself to Camera Lucida as though repudiating the very photographic theory he had spent his own life constructing. At the time, he was in profound grief over the loss of his mother. In that sense, many interpret Camera Lucida as a kind of mourning text. But the book is likely to be more than simply a record of loss. There is a faded photograph—known only as the “greenhouse photograph”—that Barthes was unable to show. Perhaps when he found himself lost for words at the sight of his mother in her younger days, when he realized there was no way to resolve the image in language, his only option was to venture outside the symbolic system he had created over the course of his life. This was both the method of mourning that he chose and a sensory return to the essence of photography. The photograph was no longer “about” something; it was a question of “why I stopped there,” a language more akin to silence than an object of analysis."